들어가며

작년 초 영국 북부를 대표하는 오디오 브랜드 네임이 프랑스의 스피커 전문 기업과 합병을 하며 다시 태어났다. 네임은 이번 기회를 통해 기술 및 연구를 공유하면서 유럽 시장을 대표하는 더욱 큰 브랜드로 자리 매김 할 것이라는 확신에 가득 차 있었다.
이런 새로운 혁신의 흐름과 함게 네임에서는 상징적인 제품으로 2억 5천만원 짜리 플레그십 엠프인 스테이트먼트(Statement)를 내놓는다. 스테이트 먼트는 기존의 네임의 제품군과는 차별화된 디자인의 첫 번째 제품인데 엠프 내부에 들어가는 작은 저항소자 하나부터 알루미늄 금형등 모든 부분을 네임에서 직접 생산함으로써 자사의 기술력을 집약한 최고의 제품이다.
뮤조는 스테이트먼트의 디자인을 그대로 이어 온 첫 번째 제품이다.
네임에서 스테이트 먼트를 출시 한 후 아마 음악과 네임을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마련한 작은 선물이 뮤조가 아닐까 한다. 뮤소의 볼륨 노브의 모양과 방열판의 모양, 몸체를 감싸고 있는 헤어라인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과 심지어 바닥의 두꺼운 아크릴까지 뮤조는 스테이트먼트의 디자인을 그대로 이어온 첫 번째 제품이다.
스테이트먼트라는 메머드급 초 하이엔드 앰프를 공개하여. 이 제품을 필두로 초 하이엔드 시장을 공략하나 싶더니 그 다음 깜짝 제품으로 올인원 사운드바를 내놓을 줄이야! …..
오디오 시장에서의 신선한 도발로 봐야 할까? 하지만 이 제품을 직접 보니 가벼운 도발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왜냐하면, 네임의 뮤조는 너무나도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뮤조 커머셜 영상
Muso 소개
6개의 75와트 디지털 엠프가 장착되어 총 450와트의 출력을 낼 수 있다.
뮤조는 네임의 첫 번째 무선 뮤직 시스템으로 내부에 6개의 스피커 유닛과 그것을 각각 구동하는 6개의 75와트 디지털 엠프가 장착되어 총 450와트의 출력을 낼 수 있다. 이런 물량 투입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네임에서 벤틀리의 카오디오 시스템을 제작하며 얻은 노하우를 적용하여 작은 크기 안에서도 충분한 출력을 가능케 한다. 이와 더불어 뮤조의 내부에 장착된 32bit 디지털 프로세서는 초당 100만번의 연산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음의 신호 하나하나까지 놓치지 않고 음악으로써 표현해내는데 일조하고 있다.
네임의 기술과 결합된 다양한 디자인적 요소들 또한 뮤조를 더욱 독특한 시스템으로 빛나게 한다. 네모난 몸체에는 왜곡을 줄이고 자연스러운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 목재 케비넷에 아노다이징 처리를 한 알루미늄으로 감쌌으며 뒷면을 차지하고 있는 히트싱크는 6개의 파워 엠프에서 나오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해준다. 뿐만 아니라 상단의 컨트롤 인터페이스와 내부에 숨겨진 Wi-Fi안테나로 뛰어난 성능을 간결한 디자인에 담아내고 있다.
Airplay를 비롯하여 UPnP스트리밍, 블루투스(aptX), iRadio등 다양한 방식을 지원
뮤조는 최신 전송방식에 대한 배려도 잊지 않았는데 Airplay를 비롯하여 UPnP스트리밍, 블루투스(aptX), iRadio등 다양한 방식을 지원하며 IOS나 안드로이드 전용 앱을 지원해 편의성을 극대화 하고 있다.
뮤조 셋팅 영상

스펙, 기능
 |
 |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터치,
또는 아이튠즈에서 음악을 스트리밍 합니다. |
PC, Mac 또는 NAS에서 CD수준을 훨씬 능가하는
고해상도 음원을 스트리밍 플레이 합니다. |
 |
 |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만 하면 곧바로 음악을 재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뮤조는 aptX를 지원하여 뮤조에 연결된 장치에서
지원하는 고해상도 음원을 청취 가능합니다. |
수천 개에 달하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에 접속합니다.
좋아하는 방송을 프리셋으로 설정하여 보다 손쉽게 접속합니다. |
 |
 |
Native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여 여러분의 휴대용 장치,
PC 또는 Mac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 합니다. |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그리고 기타 각종 MP3 플레이어로부터
음악을 재생하고, 또 이들을 충전시키며,
USB 스틱의 음악도 재생합니다. |
 |
 |
텔레비전, 셋톱 박스, 또는 게임 콘솔과 같은
디지털 소스 장치에서 오디오를 지원합니다. |
MP3 플레이어를 포함한 기타 다른 디지털 및 아날로그
소스 장치로부터 음악을 재생합니다. |
 |
|
아이튠즈 또는 네임 멀티룸 시스템 구성 중 다른 네임 스트리밍
플레이어와의 연결에서 에어플레이(Airplay)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뮤조 장치를 동시에 재생합니다. |
|
Naim 전용 어플
 |
 |
 |
UPnP를 선택하면 연결이 가능한
리스트가 뜹니다.
|
사용할 서버를 클릭하면 서버내에 저장된 엘범 아트가 나옵니다. |
재생 화면입니다.
파일 종류와 비트레이트 등이 같이 표시됩니다.
|

뮤조를 듣다

참가자 : 주기표, 백인식, 장원
주: 국내에서 처음 뮤조를 개봉하고 들어보는 게 아닌가 싶다. 첫 인상은 어떤가?
백: 처음 뮤조를 박스에서 꺼냈을 때 묵직함에 놀랐다. 가벼운 소리는 안 나겠구나 정도였지만, 막상 들어보니 그 이상이다. 생긴 건 사운드 바의 형태인데 사운드바라고 단정짓기엔 엄청난 사운드다.
장: 네임이라는 브랜드에서 이런 기기가 나올 줄은 예상치 못했다. 유니티나 NDX같은 기기들을 보며 네트워크 기술에 힘을 쏟는가 싶더니, 스테이트먼트라는 초 하이엔드 앰프를 내놓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사운드바에서는 저역의 양감이나 펀치감을 구현하기가 힘들어 서브우퍼를 별도로 달아주는데, 뮤조는 서브우퍼가 필요 없을 정도로 탄탄한 느낌이다.
원활한 기술교류가 되었을 때 어떤 획기적인 제품이 탄생 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
주: 사실 사운드바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뮤조를 보니 오디오 시장의 흐름이 이쪽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진다. 네임이 앞으로의 흐름을 잘 읽었다는 생각이 든다. 게다가 뮤조라는 제품은 지난 2011년 프랑스의 스피커 전문 브랜드와 합병 이후 원활한 기술교류가 되었을 때 어떤 획기적인 제품이 탄생 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인듯 하다.
백: 힘이 넘치는 남자 아이 둘을 키우고 있다. 때문에 톨보이 스피커나 하이엔드 오디오는 엄두도 못 내고 있다. CD재생과 라디오 기능을 갖추고 블루투스 기능이 있는 올인원 오디오 제품을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항상 부족한 사운드에 대한 갈증은 어쩌지 못한다. 당연히 네임 뮤조는 그것과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매력적이다. 이 정도 사운드라면 어느 정도 갈증이 해소 될 듯싶다.
장: 멋진 디자인은 말할 필요가 없고, 네임의 플래그십 앰프인 스테이트먼트에서 영감을 받은 상단의 커다란 노브와 방열판의 모습은 네임이 뮤조에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 짐작케 한다. 노브를 돌리는 것만으로도 고급스러운 오디오의 느낌을 잘 전달하고 있다.
벤틀리를 위해 설계했던 그 디지털 파워앰프가 75W짜리로 무려 6개가 탑재되었다.
주: 디자인은 말할 것 없이 훌륭하다는 평에는 이견이 없는 것 같다. 하지만 뮤조는 겉만 번지르르한 디자인에 현혹된 소비자들에게 적당한 음질을 제공하는 그런 제품이 아니다. 네임오디오는 럭셔리 카를 위한 소형이면서 고성능 디지털 앰프 모듈을 직접 개발한 적이 있는데 최고의 자동차 브랜드인 벤틀리의 전용 카오디오 모델을 생산하기 위해 주문을 받고 제작한 모듈이다. 벤틀리를 위해 설계했던 그 디지털 파워앰프가 75W짜리로 무려 6개가 탑재되었다. 소리를 재생하는 스피커 유닛이 6개이기 때문에 모두 모노럴 증폭 방식으로 앰프도 6개를 탑재시켰다.
백: 앞서 얘기가 나왔지만, 일반적인 사운드바는 부피가 슬림하기 때문에 저음의 부족하다. 그래서 일부 사운드바의 경우는 서브우퍼를 별도로 제공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서브 우퍼를 추가 한다 해서 저음의 양감은 늘어날 수 있겠지만 서브 우퍼의 품질이 좋지 못한 경우라면 그것도 완벽한 해결책은 못 된다.
주: 저음의 양감이야 커다란 서브 우퍼가 있는 모델이 더 많을 수는 있겠지만, 네임 뮤조가 재생하는 음의 질감은 음질적으로 뭔가 불안정한 사운드바의 음질이 아니라 지극히 하이파이적이다. 뮤조는 출력도 부족하지 않아서 이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음에서는 사운드바에서는 느껴보지 못했던 깊이감도 느낄 수 있다.
백: 하이파이적이라는 말이 흔하게 쓰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올인원 오디오 시스템에서 하이파이적이라는 말은 어떤 의미인가?
음악 전문가들이 듣기에도 인정할 수 있는 밸런스와 깊이감, 그리고 고급스러운 질감
주: 여기서 말하는 하이파이적이라는 말은 그냥 소리의 재미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 전문가들이 듣기에도 인정할 수 있는 밸러스와 깊이감, 그리고 고급스러운 질감을 추구하고 있는지를 뜻한다. 하이파이적이라는 말이 원음을 추구한다는 말이라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오디오에 원음을 결부시키는 것은 너무나 막연한 주제이다.
백: 뮤조를 TV밑에 놓는 사운드바라고 가정했을 때의 위치라면, 소리가 약간 아래서 나오는 느낌이 있지는 않겠는가? 최적의 청취 조건을 알려달라.
장: 뮤조는 귀의 높이나 그보다 오히려 더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사용할 때 음질이 훨씬 좋다. 그래야 캐비닛이 작은 단점을 극복시키는 음이 재생된다. 기본적으로 재생되는 음의 밀도감이나 정보량이 부족한 수준이 아니고 힘도 좋은 편이기 때문에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음의 에너지가 절대로 일반적인 인티앰프와 북쉘프 스피커 조합에 비해 부족하거나 나쁘지 않다.
주: 캐비닛이 일반 하이파이 시스템에 비해서는 크지 않은 스타일이기 때문에 배치를 낮게 하지 말고, 가능하면 TV를 벽에 걸고 뮤조가 최소한 귀 높이 정도에 서 음이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런 조건을 지켜서 음악을 재생한다면 약간 과장해서 작은 연주회장 같은 분위기도 연출시킬 수 있다. 그런데 그 질감이나 음질의 완성도가 참으로 다부지고 가볍지 않은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장: 거기에 또 한가지 덧붙이자면 뮤조에는 음장 선택 모드가 있다. 뮤조를 어디에 배치했느냐에 따라 ‘벽에서 가까이’ 와 ‘벽에서 멀리’ 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 두 가지 모드에 따라 중저음이 줄어들고 고음은 좀 더 명료하게 살아나거나 혹은 중저음의 볼륨감이나 깊이감이 늘어나도록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음장 모드를 포함한 모든 기능을 네임의 전용앱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컨트롤 할 수 있다는 것도 굉장한 장점이다.
백: 듣고 보니 거실에 TV 사운드바를 겸해서 뮤조를 놓아도 괜찮다는 생각이 든다. DVD 영화를 감상하려고 여기 저기 배치해둔 5.1채널 스피커는 이미 아이들 손에 51조각이 난지 오래다. 그래서 겉보기에도 단단하고 야무진 뮤조를 거실에 가져다 놓고 블루투스로 편하게 음악도 듣고 싶다. 이 정도 사운드라면 5.1채널 같은 사운드의 분리감은 부족하겠지만 영화 보기에도 만족할 만한 좋은 사운드라 생각된다.
장: 좋은 선택이 될 거라 본다. 사실 서재 같은 곳을 하나 방음실로 꾸며서 하이파이 시스템을 마련해 놓고 거실에는 뮤조 같은 올인원 시스템으로 편하게 음악을 듣는 것도 좋다고 본다. 음악은 무조건 하이파이 오디오로 음악을 들어야 한다며 매번 예열하고, 셋팅하고, 듣다가 사운드가 달라진거 같으면 다른 매칭을 해보고……. 음악을 편히 듣지 못하는 사람을 종종 보아왔다. 그런 사람들에게도 편하게 음악을 즐기라는 의미로 권해보고 싶다.
차를 마시면서 음악을 감상하고, 아내에게도 이 제품을 사용법을 가르쳐 주며
좋은 음악을 좀 더 자주 함께 하고, 아이들과도 좋은 음악을 감상하게 된다면
내 삶이 좀 더 멋지고 고급스러운 삶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주: 우리집의 예쁜 선반이나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스마트폰으로 블루투스 기능이나 네트워크 원격조정 기능으로 차를 마시면서 음악을 감상하고, 아내에게도 이 제품을 사용법을 가르쳐 주며 좋은 음악을 좀 더 자주 함께 하고, 아이들과도 좋은 음악을 감상하게 된다면 내 삶이 좀 더 멋지고 고급스러운 삶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이런 올인원 제품에서 이러한 음악성을 느낄 수 있다는 것에 아주 만족하고 자주자주 만지면서 여러 음악을 감상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총평

스마트 폰으로 모든 기능을 콘트롤 할 수 있는 편리한 전용 앱 역시 뮤조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 하지만 편리함을 추구한 것이 다가 아니다. 뮤조에 사운드를 들어보면 디자인, 편리함, 거기에 사운드 까지 어느 것 하나 놓치지 않겠다는 네임의 고집스런 장인 정신이 묻어난다.
두가지 음장모드 ‘벽에서 멀리’ 혹은 ‘벽에서 가까이’의 선택에 따라 확연히 달라진 사운드
뮤조의 캐비닛은 거의 대부분을 알루미늄으로 둘러싸고 묵직한 바닥재질에 질 좋은 유닛을 사용하여 3WAY로 구성하고 거기에 뛰어난 앰프 구성으로 음질의 완성도는 왠만한 소형 북쉘프 스피커를 압도하는 수준이다. 게다가 두가지 음장모드 ‘벽에서 멀리’ 혹은 ‘벽에서 가까이’의 선택에 따라 확연히 달라진 사운드를 들려주는데, 중저음의 양감을 줄이고 중고음의 명료도를 높이도록 세팅하면 비교적 깔끔하면서도 단정하고 명료한 음을 감상할 수 있으며, 반대로 중저음이 많이 나오도록 세팅 하면 30평대 거실 정도는 꽉 채워주는 정도의 웅장하고 깊은 음을 재생해 준다.
저가의 사운드바나 올인원 오디오들의 음이 20대 아이돌의 음이라면 네임 뮤조는 확실히 기존 네임오디오의 이미지를 이어오고 있어 노련한 40대 이상의 중견 가수의 목소리나 혹은 남성 성악 가수들의 목소리의 느낌까지도 갖고 있다. 또한 몸으로 느껴지는 성량의 차이가 적지 않게 느껴지고 음의 깊이 감도 기대 이상인데 팝송을 듣더라도 20대 가수가 부르는 팝송보다는 40대 이상의 가수가 부르는 경박하지 않으면서도 진중하고 성량의 느낌이 좋게 부르는 느낌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뮤조 소개 영상
Audio Inputs |
|
Digital (S/PDIF) |
Optical S/PDIF (TosLink) up to 96kHz |
USB |
Side USB Type A |
Analogue |
3.5mm jack |
Other Inputs |
UPnP,™ AirPlay, Spotify Connect, Bluetooth (with aptX), Internet Radio via wired Ethernet or Wi-Fi and multiroom client from an existing Naim streamer system |
|
|
Connectivity |
|
Remote Control |
Infra Red (RC5) |
Network |
Ethernet (10/100Mbps), Wi-Fi (802.11b/g) 2.4GHz |
|
|
Formats |
|
Audio |
WAV, FLAC and AIFF up to 24bit/192kHz ALAC (Apple Lossless) up to 24bit/96kHz
MP3 up to 48kHz, 320kbit (16 bit)
AAC up to 48kHz, 320kbit (16bit)
OGG and WMA up to 48kHz (16bit)
Bluetooth SBC, AAC and aptX
Note: All formats to 48kHz maximum over wireless network |
Internet Radio 제공 |
vTuner premium 5* |
Internet Radio Formats |
Windows Media-formatted content, MP3, ACC, Ogg Vorbis streams and MMS |
|
|
user Control |
|
제품 |
Touch control user interface with rotary volume control |
리모콘 |
Remote handset included and optional control app for iPad, iPhone, iPod Touch and Android devices |
|
|
Power |
|
Amplifier output |
450W - 6 x 75W (into 6Ω) |
Power Consumption |
Typical use: 17W
Standby mode: < 4W
Deep sleep: < 0.5W |
Mains Supply |
100V, 115V or 230V, 50/60Hz |
|
|
Physical |
|
Dimensions(HxWxD) |
122 mm x 628 mm x 256 mm |
Weight |
13 kg |
구성품 |
Remote control, mains cable (+ plug adaptor market dependant), reset pin-hole tool and quick-start guide |
Finishes |
Brushed aluminium casework, silver anodised heatsink, black fabric grille.
Grille options in Deep Blue, Vibrant Red, Burnt Orange. |
|
|
Speaker |
|
Speaker System |
Dual, three-way |
|
|
|
|
(7).jpg)